728x90
반응형

 

Termius 소개 및 활용 방법

 

1. Termius 홈페이지

https://termius.com/download/windows

 

Download Termius for Windows

Download Termius for Windows. Download .EXE. Try Termius for mobile. Enjoy the secure sync and access your servers on the go with Termius mobile app.

termius.com

 

2. Termius란

Termius는 SSH(Secure Shell) 클라이언트이자 원격 서버 관리 도구로, 개발자와 시스템 관리자가 서버에 쉽게 접속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애플리케이션이에요. 주로 원격 리눅스 서버, Docker 컨테이너, Raspberry Pi 같은 장치에 접속할 때 많이 사용됩니다.

 

3. 주요기능

  • SSH 연결 관리
  • SFTP 지원
  • 터미널 세션 동기화
  • 포트 포워딩
  • 명령어 스니펫(Snippet)

 

4. Hosts 

  • Host 이름: 연결을 쉽게 구분할 수 있는 별칭
  • Hostname / IP 주소: 실제 서버의 도메인명이나 IP
  • 포트(Port): 기본 SSH 포트는 22, 필요시 다른 포트 지정 가능
  • 사용자명(User): 원격 서버 로그인 계정
  • 인증 방식: 비밀번호 또는 SSH 키 인증
  • 그룹(Group): 여러 서버를 프로젝트·환경별로 그룹화 가능

 

5. Keychain

  • SSH Key 관리
    • RSA, ECDSA, ED25519 등 다양한 타입의 SSH 키를 생성·저장
    • 이미 만들어둔 키도 가져와서 재사용 가능
    • 여러 Host에 같은 키를 적용해 매번 새로 설정할 필요 없음
  • 비밀번호 관리
    • 서버 로그인 시 필요한 비밀번호를 암호화해 저장
    • Termius 내에서 안전하게 암호화돼 저장되므로 매번 입력할 필요 없음
  • Key-Agent 기능
    • SSH 에이전트처럼 한 번 로그인하면 여러 서버에서 재인증 없이 사용 가능

 

6. Port Forwarding

  • Local Forwarding (로컬 포워딩)
    • 내 컴퓨터의 특정 포트를 원격 서버를 거쳐 다른 목적지 서버로 연결
    • 예: localhost:8080 → SSH 서버 → 10.0.0.5:3306(MySQL)
    • → 내 PC에서 localhost:8080에 접속하면 내부망 DB(10.0.0.5:3306)에 연결
  • Remote Forwarding (원격 포워딩)
    • 원격 서버에서 들어오는 요청을 내 로컬 머신으로 전달
    • 예: 원격 서버의 :8080으로 접근 → 내 PC의 :3000에서 처리
  • Dynamic Forwarding (SOCKS Proxy)
    • 원격 서버를 통해 여러 목적지로 트래픽을 라우팅하는 프록시 모드
    • VPN처럼 사용할 수 있음

 

7. Terminu 설정 시 모습

로컬(127.0.0.1:3333) → 중계 서버(2.2.2.2) → 목적지(3.3.3.3:7777)

  • Label: 포트포워딩
  • Local port number: 3333
  • Bind address: 127.0.0.1
  • Intermediate host: 2.2.2.2
  • Destination address: 3.3.3.3
  • Destination port number: 7777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