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리눅스 파일 및 디렉토리 삭제 명령어

 

 

1. 파일 삭제하기

rm 파일명

ex) test.txt 파일 삭제하기

rm ./test.txt

 

2. 파일 강제 삭제하기

rm -f 파일명

ex) test.txt 파일 삭제하기

rm -f ./test.txt

 

3. 디렉토리 삭제하기

rm -r 디렉토리명

ex) test 디렉토리 삭제하기

rm -r ./test

 

4. 디렉토리안의 모든파일 삭제하기

rm -r 디렉토리명/*

ex) test 디렉토리안의 모든 파일 삭제하기

rm -r ./test/*

 

5. 특정 파일명 / 확장자 삭제하기

rm -r [test* / *.확장자]

ex) test로 시작하는 파일이름 삭제하기

rm ./test*

ex) tar 확장자 전체 삭제하기

rm ./*.tar

 

 

 

수정이 필요하거나 내용이 추가 될 부분은 댓글을 남겨주시면 반영하겠습니다.

Last modified date : 21.01.10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Linux 복사하기 와 붙여넣기

 

 

복사하기 (Ctrl+C)

CTRL + INSERT

 

붙여넣기 (Ctrl+V)

SHIFT + INSERT

 

복사후 붙여넣기

드래그 한 상태에서 마우스 우클릭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jQuery 클릭 이벤트 예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 방법 1 */
$('#ID').on("click"function(){
    
});
 
/* 방법 2 */
$('#ID').bind("click"function(){
 
});
 
/* 방법 3 */
$('#ID').click(function(){
 
);
http://colorscripter.com/info#e" target="_blank" style="color:#4f4f4ftext-decoration:none">Colored by Color Scripter
728x90
반응형

'Web > jQue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jQuery] keyup Event Example  (0) 2019.08.25
[jQuery] AJAX 동기 처리 Example  (0) 2019.07.21
[jQuery] AJAX 한글깨짐 해결 Example  (0) 2019.06.23
[jQuery] AJAX 배열전송(Array) Example  (0) 2019.06.22
[jQuery] AJAX Example  (0) 2019.06.22
728x90
반응형

 

Sublime Text 에서 Console로 JavaScript 실행하기

 

1. Node.js 설치하기

https://nodejs.org/ko/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현재 버전(최신버전) 보다 한 단계 낮은 버전을 사용하길 추천

 

2. cmd(도스창) 켜서 node -v 입력해서 설치된 버전 확인하기

3. Node.js 설치된 경로 확인하기

 

4. Sumlime Text 실행하기

5. Tools > Build System > New Build System 선택

 

6. 아래 사진과 같이 수정하기

{
"cmd": ["노드.exe파일경로/node.exe", "$file"],
"selector": "source.js"
}

 

7. node.sublime-build 으로 다른이름 저장하기

8. Tools > Build System > Node 선택

 

9. 파일을 [파일명.js]로 저장하기

10. 원하는 문법 작성후 Ctrl + B 누르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리눅스(우분투)에 아파치톰캣 7 설치하기

 

 

1. 아파치톰캣 홈페이지 접속하기

http://tomcat.apache.org/

버전 7을 다운로드 할 예정이니 Tomcat 7 클릭하기

 

2. 화면이동 후 스크롤을 내리면 Core가 보임

Core 밑에 tar.gz 파일이름에서 마우스 우클릭으로 링크주소복사 클릭

 

3. 리눅스(ubuntu) 실행

4. 다운로드 하고 싶은 경로로 이동

5. wget 링크주소붙여넣기 (마우스 우클릭 / (Window의 Ctrl V))

 

6. ls -al 혹은 ll 명령어를 통해 apache-tomcat-7.0.94.tar.gz 파일이 다운로드 성공 확인하기

 

7. tar.gz 파일 압축풀기

tar xvfz apache-tomcat-7.0.94.tar.gz 입력하기

 

8. 아이피 주소:포트번호로 아파치 톰캣 디폴트 페이지 뜨는지 확인하기

 

9. 환경변수 및 포트 셋팅하기

  • sudo vi /etc/profile
  • vi server.xml

환경변수 혹은 포트설정하기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리눅스 vi와 cat 알아보기

 

Cat 명령어 - 출력만 가능 (읽기,보기)

 

1. 파일 열기(출력,보기)

Cat [파일이름]

 

2. 각 행에 번호 붙여서 출력하기

cat -b [파일이름]

 

3. 빈 행에 번호 붙여서 출력하기

cat -n [파일이름]

 

 

vi 명령어 - 읽기, 수정 가능

 

1. 파일 열기

vi [파일이름]

 

2. 편집하기

키보드(i)

 

3. 수정완료 후 종료하기

ESC

 

4. 저장하기

:wq               

  • : 커서맨아래로 이동
  • w 저장하기
  • q 나가기
  • wq 저장하고 종료하기
  • q! 저장하지 않고 나가기

 

5. 되돌리기

u (undo) - window (Ctrl + Z)

 

6. 문자열찾기

/[찾고싶은 문자] : 아래방향으로 문자열을 찾는다.

?[찾고싶은 문자] : 윗방향으로 문자열을 찾는다.

n : 다음 문자

N : 이전의 문자

 

7. 글자바꾸기

%s/old/new/g : 아래방향으로 가면서 문서에 모든 old문자를 new로 바꿈

s/old/new/ : 아래방향으로 가면서 처음으로 찾는 old문자를 new로 바꿈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리눅스 디렉토리 이동하기 명령어

 

1. 하위 디렉토리 이동하기

cd 하위디렉토리명

 

2. 상위 디렉토리 이동하기

  • cd ..
  • cd ../

 

3. 루트 디렉토리 이동하기

cd /

 

4. 이전 디렉토리 이동하기 (Ctrl + Z)

cd -

 

5. 현재 디렉토리 확인하기

pwd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리눅스의 ./ 의미

 

./    현재리눅스(우분투)에서 접근해 있는 현재경로를 나타낸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